근현대사 조명 18 타국에서 활동한 영광출신 항일운동가
일초 황덕환(一樵 黃德煥) 열사는 영광군 군남면 양덕리 206번지에서 1895년 2월26일 황일수(黃一秀)의 4형제 중 2남으로 태어났다.
향리에서 한학을 수업하던 12세때 유행성 전염병으로 양친이 돌아가시자 16세때 상경했다. 1913년 경성자동차학원에 입학해 운전면허증을 얻은 뒤 일본군 내부를 정탐하기 위해 1915년 일본군 용산 보병대에 군속(軍屬)으로 들어갔다. 그는 일본군 장교의 신임을 얻어 1916년 12월 일본 동경으로 전속돼 가는 장교를 따라 도일(渡日), 그 장교의 후원으로 동경 청산학원에 입학했다.
3ㆍ1운동으로 조선 유학생들에 대한 일경의 탄압이 가중되자 중국 상해로 망명, 임시정부에 가담하게 된다. 그리하여 독립운동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임시정부로부터 1922년 3월 본국 입국명령을 받고 일본인으로 가장해 일본을 경유, 국내에 잠입하려다 부산 수상경찰에 체포돼 정체가 탄로나자 대구지법에서 5년형을 받고 복역중 일본 황태자의 출생으로 특사가 있어 3년간의 옥고를 치르고 1925년 7월 가출옥됐다.
그후 고향에서 6개월간 휴양하는데 일경의 감시가 심해지자 다시 상경, 용산 원정(元町) 사정목(四丁目) 김준국(金準局)의 집에서 민생사(民生舍)라는 이발관을 위장경영하면서 서울 청년회 간부로 지하운동을 하다 일경의 미행이 계속되자 부득이 만주로 망명하게 된다.
그러다 당시 만주일대 한인(韓人) 50만 교포사회를 통괄하는 독립단체인 신민부(新民府) 경리부위원장 유정근(兪正根) 선생의 추천으로 1926년 1월 신민부에 가담하였다. 직책은 군정위원회 부위장 겸 별동대장이었다.
그 당시 신민부 구성 주요요원들은 중앙집행위원장 김 혁(金 爀), 군사부위원장겸 총사령관 김좌진(金佐鎭) 장군, 민사부위원장 최 호(崔 灝), 참모부위원장 나중소(羅仲昭), 외교부위원장 조성환(曺成煥), 법무부위원장 박성태(朴性泰), 교육부위원장 허성묵(許聖默), 연락부위원장 정 신(鄭 信), 실업부위원장 이일세(李一世), 심판위원장 김 돈(金 墩), 보안사령 박두희(朴斗熙)였다.
황 열사는 군부대를 직접 지휘해 중동선(中東線) 일대의 일본 영사관을 비롯해 일본 경찰관서, 군부대, 변절 친일 반민족 단체 민회(民會) 등을 수없이 습격하기에 이르른다. 특히 악명 높은 해림시(海林市) 민회 회장 배두산(裴斗山)을 습격해 그 자리에서 처단한 사건과 민회토벌사건은 변절 한일 응징 가운데 가장 컸던 것이다.
그는 군복을 벗고 사복으로 변장, 백주에 자동차로 하얼빈시에 침입해 정모(鄭?)라는 민회회장과 민회본부를 습격, 분쇄해 버렸다.
황 열사와 대원들의 이 같은 쾌거로 말미암아 일본의 독립운동 방해공작은 치명적인 타격을 입었다.
1927년 9월 그는 무기 구입차 하얼빈시에 잠입해 독일제 권총 20정을 구해 본부에 밀송하고 남은 임무를 수행했다. 그러던중 황 열사는 일본군의 기습으로 체포돼 남만주의 대련지법(大連地法)으로 압송됐다.
1928년 10월 대련지법에서 무기형을 받고 복역중, 일인죄수가 한인죄수에 대해 멸시하자 이에 격분, 일인죄수를 옥중에서 타살하고 또 이를 보고 달려온 일인간수마저도 옥중에서 타살해 버렸다.
무기 복역중이던 황 열사는 일인살인죄가 추가돼 재심하던 여순고법에서 사형을 언도받고 1932년 10월5일 38세를 일기로 남만주 여순감옥에서 교수대의 이슬로 사라졌다. 당시 신경(新京)에서 운수업을 하던 그의 종제(從弟) 황길환(현재 만주 거주)이 1933년 10월 유해를 고향인 군남면 백양리 선영하에 모셨다가 정부의 배려로 1965년 국립묘지 애국지사 묘역에 안장됐다.
정부는 순국선열 황덕환 열사에게 1963년 3월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국민장을 추서했다. 황 열사의 호는 일초(一樵)요, 일명 건(健)이라고도 한다.
조옥현(曺玉鉉·曺光, 1909 ~ 1940, 영광읍 남천리 출신) 선생은 일제 치하 일본유학시절 조선유학생 청년회장으로 발탁돼 도쿄, 교토, 나라, 오사카 등지를 순회하며 민족혼을 일깨우는 강연을 하는 한편 항일 지하운동에 가담해 조선독립운동에 혼신을 다했다.
그로 인해 일경에 체포, 3년여 동안 옥중 수감돼 갖은 고초를 겪기도 했다. 조옥현 선생은 2005년 3ㆍ1절 86돌을 맞아 항일독립운동의 공로가 인정돼 건국훈장 애족장에 추서됐다.
건국이후 독립유공자로 포상받은 분은 총 9,694명으로 대한민국장 30명, 대통령장 93명, 독립장 782명, 애국장 3,130명, 애족장 3,818명, 건국포장 480명, 대통령 표창 1,361명 등이다. 오는 8월 광복절과 순국선열의 날 포상이 이뤄지면 1만명이 넘어설 전망이다.
저작권자 © 영광2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