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목포진 있던 자리 ‘목포 만호동’
옛 목포진 있던 자리 ‘목포 만호동’
  • 영광21
  • 승인 2022.03.17 13: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 역사의 뿌리이고, 근대역사의 출발지

 

‘보통학교 4학년 때 우리 가족은 드디어 목포로 이사했다. 그 전에 나는 틈만 나면 뭍으로 가겠다고 떼를 썼다. 혼자 일본에 가서 공부하겠다며 부모님을 조르기도 했다. 신문 배달을 해서라도 독학을 하겠다고 했다. …(중략)… 자식들을 뭍에서 공부시키겠다는 어머니의 의욕이 합쳐져 생활 터전을 옮기기로 결정한 것이다. 뭍으로, 큰 곳으로 터전을 옮긴다는 것은 정말 가슴 설레는 일이었다. 청운의 뜻을 품고 배에 올랐다. 1936년 가을이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소년 시절에 대한 회고다. 그의 자서전에 나오는 내용이다. 
소년 김대중의 눈에 비친 목포는 말 그대로 별천지였다. 신안군 하의도 생활을 정리하고 함께 나온 어머니 장수금은 목포항이 내려다보이는 비탈진 언덕에서 영신여관을 운영했다.
목포진과 영신여관 그리고 소년 김대중
그 ‘별천지’가 지금의 목포시 만호동이다. 김대중이 1945년까지 살았던 옛 영신여관 자리에 ‘소년 김대중 공부방’이 복원돼 있다. 객주집과 공부방으로 이뤄졌던 2층짜리 건물을 기념관으로 꾸몄다. 1층은 김대중의 목포상고 재학시절부터 7대 국회의원 활동까지, 2층은 일본 납치사건에서 미국 망명시절을 사진으로 보여준다.
김대중 공부방 앞에 목포진 역사공원도 있다. 조선시대 군사시설인 목포진木浦鎭 자리에 재현됐다. 
목포진은 세종 때인 1439년 수군진영으로 설치됐다. 수군만호가 배치됐다. 1501년엔 높이 2m, 둘레 400m의 성벽이 쌓였다. 성안에 객사와 관아, 우물, 감옥 등이 있었다. 동서남북 사방에 출입문도 있었다. 
1897년 목포가 개항된 이후 목포진은 제국의 관청인 감리서, 해관 등으로 쓰였다. 목포진 일대는 외국인들이 살 수 있는 거류지로 개발됐다. 당시 외국인 거류지의 면적이 72만6,024㎡(22만평)에 이른다. 목포진 자리를 중심으로 주변 바닷가를 간척해 근대 시가지가 형성됐다.
시가지는 일본인들이 다니던 소학교에서 목포역 방향을 기본으로 하고 유달산과 목포진, 선창을 연결하는 구조로 이뤄졌다. 시가지에는 옛 일본영사관을 비롯 수탈의 상징인 옛 동양척식회사, 일본인들이 다닌 학교와 교회, 일본사람 집이 들어섰다. 자연스레 백화점, 상회 등 크고작은 상업시설이 모여들었다. 조금 떨어진 조선인마을과 비교조차 할 수 없었다. 조선인의 삶도 갈수록 열악해졌다.
 

 

근현대 관통하는 역사와 문화 고스란히
목포진 일대는 식민지 수탈의 아픈 현장이다. 법원, 경찰서 등도 여기에 들어섰다. 우리 민족은 부두 노동운동, 소작쟁의, 의병과 항일운동 등을 통해 살아있음을 보여줬다. 
해방 이후엔 목포사람들의 삶의 중심 터전이 됐다. 개항기에서 일제강점기를 거쳐 해방 이후, 그리고 근현대를 관통하는 목포의 생활문화사가 배어 있는 곳이다. 지금도 당시의 바둑판식 도로 구조와 근대건축물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 등록문화재로 지정돼 있다.
만호동萬戶洞은 목포역사의 뿌리이다. 목포의 탄생지이고 목포 근대역사의 출발지인 셈이다. 만호가 운영하던 수군진이 있었다는 데서 지명도 유래했다.
만호동은 해방 이후 목포의 중심가 역할을 했다. 목포의 상업을 이끌며 서울의 명동에 견줬다. 개항 당시 2,800명이던 목포의 인구가 5만명을 넘어 전국 6대 도시로 성장한 것도 이때였다.
바다와 육지를 이어주는 교통의 요충지도 만호동이었다. 기차와 버스, 여객선을 통해 바다와 육지를 연결했다. 항동시장과 목포종합수산시장, 김·멸치 등을 파는 건해산물 상가도 호황을 누렸다. 목포의 상업을 넘어 전남 서남부 상권의 중심지로 자리를 잡았다.
90년대 들어 신도심 개발이 빠르게 이뤄졌다. 하루가 다르게 고층 아파트가 들어섰다. 휘황찬란하던 만호동의 불빛이 하나씩 꺼졌다. 신도심으로 사람과 상권이 옮겨가면서 거리도 활기를 잃었다.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유입 정체까지 겹쳐 만호동은 쇠락의 길로 들어섰다.

 

목포의 핫 플레이스 떠오른 만호동
만호동이 기지개를 켠 건 몇 년 전이다. 옛 명성을 되찾기 위한 작업이 시작됐다. 도시재생을 통해 이 일대를 살아있는 역사문화 박물관으로 만들자는 것이다. 주거환경 정비, 빈집 관리, 골목갤러리 단장, 마을상점 운영, 마을기록 작업 등을 추진했다. 
옛 조선식산은행 목포지점 자리에 예술을 담은 만호ZONE(존)을 만들었다. 만호진의 형성과 함께 태어나 근대화 과정에서 발전해 온 목포의 모태였음을 표현하고 있다. 거리마다 상점 셔터에는 페인팅을 했다. 고양이와 갈매기 등을 주제로 한 골목 갤러리도 꾸몄다. 외벽에 그려진 벽화는 건물에 생명을 불어넣었다. 
레트로 감성의 포토존도 여기저기 설치했다. 물고기와 고양이·갈매기 이미지가 어우러진 하트, 취산 조용백 화백의 그림 ‘목포풍경’을 배경으로 인증샷도 남길 수 있다. 생선상자로 꾸민 ‘풍어기원’은 만선의 꿈과 함께 대양을 향한 희망을, 바다를 품은 먹갈치는 목포의 맛을 표현했다. 
오래된 거리는 그저 낡은 것이 아니라는 걸 보여준다. 도시와 함께 숨쉬는 여백이고, 정감이 가득한 이야기 창고라는 사실을 일깨워준다. ‘웰컴 투 만호동’으로 이름 붙은 이 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가 2020년 지원한 공공미술 프로젝트로 이뤄졌다.
오래된 마을, 만호동이 목포의 새로운 핫 플레이스로 떠오르고 있다.
/ 전남새뜸